소득이 발생하면 필수적으로 세금을 국가에 내야 합니다. 세금은 각 지역마다 있는 세무서에 신고하여 납부를 하여야 합니다. 중부지방국세청에 소속되어 있는 김포세무서에 대한 정보를 소개해 드립니다.
김포세무서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포털사이트에서 김포세무서를 검색해 주시면 간편하게 홈페이지로 접속을 하실 수가 있습니다.
전국의 모든 세무 업무는 지역 세무서에서도 업무가 가능하지만 연말정산과 같이 많은 분들이 이용하시는 서비스는 국세청 홈텍스 홈페이지에서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김포세무서 홈페이지의 메인화면입니다. 홈페이지 상단에는 알림/소식, 국민참여, 정보공개, 세무서소개의 주요메뉴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찾는 주요 서비스 메뉴를 소개합니다. 연말정산 안내, 종합소득세 신고하기, 민원증명발급, 민원실 대기인원 조회, 찾아오시는 길 등의 안내입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간편하게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김포세무서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았습니다. 복잡한 세무 업무를 보기 위해서는 세무서를 방문하기 전에 미리 해당 세무서의 정보를 파악하고 방문하시면 더욱 더 간편하게 업무를 모실 수가 있습니다.
연혁
홈세무서소개연혁공유하기인쇄
연혁
김포세무서 전경
.2017년 2월 13일 김포시 장기동 신청사 이전
.(서인천세무서 김포지서--> 김포세무서)
.2014년 4월 7일 김포세무서 개청
조직과 기능
홈세무서소개조직과 기능공유하기인쇄
기본사항
주소김포세무서 :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1로22 , 우편번호 : 10087 , 세무서코드 : 234 , 세무서 계좌 : 023760 강화민원봉사실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강화대로 394, 우편번호 : 23031
대표전화031-980-3200
팩스번호031-983-8125
코드번호234
계좌번호023760
관할구역경기도 김포시, 인천광역시 강화군
직원찾기
부서명 전화번호 팩스번호 전자팩스번호 담당사무
체납징세과
운영지원팀 031-980-3242~5 031-987-9932 세무서 운영에 관한
행정업무
체납징세과
체납추적1팀 031-980-3442~450 031-987-9932 체납,압류
체납징세과
체납추적2팀 031-980-3462~9 031-987-9932 체납,압류
체납징세과
징세팀 031-980-3262~5 031-987-9932 환급업무, 세금수납
부가가치세과
부가1팀 031-980-3282~291 031-983-8028 부가가치세, 부가세 환급업무
부가가치세과
부가2팀 031-980-3302~310 031-983-8028 부가가치세, 부가세 환급업무
소득세과
소득1팀 031-980-3342~7 031-998-6973 소득세 및 근로,자녀장려금 업무
소득세과
소득2팀 031-980-3362~7 031-998-6973 소득세 및 근로,자녀장려금 업무
재산법인세과
재산1팀 031-980-3402~410 031-998-6971 양도소득세, 상속세, 증여세, 종합부동산세업무
재산법인세과
재산2팀 비공개 비공개 양도소득세, 상속세, 증여세 조사 관련 업무
재산법인세과
법인1팀 031-980-3502~7 031-986-2801 법인세 관련, 법인 원천세 관련 업무
재산법인세과
법인2팀 031-980-3522~6 031-986-2801 법인세 관련, 법인 원천세 관련 업무
조사과 비공개 비공개 법인, 개인 조사업무, 정보교환, 탈세제보처리
납세자보호담당실
납세자보호실 031-980-3212~4 031-986-2806 고충처리, 과세적부심,
이의신청, 심사청구 등
납세자보호담당실
민원봉사실 031-980-3222~6 031-982-8125 사업자등록 및 변경업무, 민원증명서류 발급,
신고서접수
강화출장소 032-934-1493~4 0503-112-4077 사업자등록 및 변경업무, 민원증명서류 발급,
신고서접수 (강화출장소)
찾아오시는 길
홈세무서소개찾아오시는 길공유하기인쇄
위치안내
주소김포세무서 :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1로22 , 우편번호 : 10087 , 세무서코드 : 234 , 세무서 계좌 : 023760 강화민원봉사실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강화대로 394, 우편번호 : 23031
오시는 길◎대중교통 이용시(버스)
- 우미린 반도유보라 아파트 정류장
3, 33, 60-3, 8-1, 101, 102, 6427, 8600, 9008
- 장기고등학교 정류장
3, 22, 33, 81-1, 8601
◎ 자가용 이용시
- 김포공항에서 강화방향으로 40~50분 김포 한강 신도시 장기지구
□ 강화민원봉사실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강화대로 394 별관 1층)
◎대중교통 이용시(버스)
- 강화군청 정류장 이용
96
- 강화터미널 정류장 이용
70, 88, 90, 700-1, 3000
◎ 자가용 이용시
- 김포시청에서 강화군청으로 50~60분
버스노선
대중교통(버스) 및 자가용
위치안내에 대한 이미지로, 자세한 설명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목적지까지 가는 길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중교통 이용시(버스)
- 우미린 반도유보라 아파트 정류장
3, 33, 60-3, 8-1, 101, 102, 6427, 8600, 9008
- 장기고등학교 정류장
3, 22, 33, 81-1, 8601
◎ 자가용 이용시
- 김포공항에서 강화방향으로 40~50분 김포 한강 신도시 장기지구
□ 강화민원봉사실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강화대로 394 별관 1층)
◎대중교통 이용시(버스)
- 강화군청 정류장 이용
96
- 강화터미널 정류장 이용
70, 88, 90, 700-1, 3000
◎ 자가용 이용시
- 김포시청에서 강화군청으로 50~60분
카카오 지도로 보기 네이버 지도로 보기
시설안내
주차장
세무서 주차장 이용가능합니다
매점
해당없음
편의 및 체육시설
해당없음
기타
해당없음
연말정산 종합 안내
홈국세신고안내개인신고안내연말정산연말정산 종합 안내
공유하기인쇄
2020년 귀속 연말정산 종합 안내
편리한 연말정산 이용방법
(근로자 + 원천징수의무자)
연말정산 동영상 교육자료
(종합안내)
연말정산 동영상 교육자료
(전산실무)
연말정산 교육자료
(개정세법 요약)
연말정산 동영상 교육자료
(2020차트를 달리는 연말정산)
원천징수의무자를 위한
연말정산 신고안내(책자)
근로자를 위한 연말정산 정보
편리한 연말정산 이용방법
연말정산 교육자료
연말정산 신고안내(책자)
근로자용 리플릿
원천징수의무자를 위한 연말정산 정보
편리한 연말정산 이용방법
연말정산 교육자료
연말정산 신고안내(책자)
원천징수의무자용 리플릿
맞춤형 도움말 자료
연말정산 상담도우미
키워드 연말정산
연말정산 자가 체크리스트
Q&A 모음집
계산사례
종합소득세 개요
홈국세신고안내개인신고안내종합소득세기본정보종합소득세 개요
공유하기인쇄
글자크기가가가가
종합소득세 신고·납부
당해 과세기간에 종합소득금액이 있는 자는 다음해 5월 1일부터 5월 31일(성실신고확인서 제출자는 6월 30일)까지 종합소득세를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소득세법 §70, §70조의2).
종합소득 : 이자·배당·사업(부동산임대)·근로·연금·기타소득
신고납부기한이 공휴일, 토요일인 경우 그 다음날까지 신고납부 가능
2019년 귀속 종합소득세 확정신고·납부와 관련하여 국세청에서는 코로나19 피해로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납세자에게 아래와 같이 신고·납부기한을 연장하는 등 적극적인 세정지원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피해 극복을 위한 ’19년 귀속 종합소득세 확정신고·납부기한 연장 내용
구분 유형 대상 연장기한
납부기한 연장 직권 모든 납세자 일반 납세자 8.31.
성실신고확인서 제출 신고자 8.31.
신고기한 연장 직권 직접 피해납세자 (요건충족)일반 납세자 8.31.
(요건충족)성실신고확인서 제출 신고자 8.31.
특별 재난지역 일반 납세자 6.30.
성실신고확인서 제출 신고자 연장 없음
신청 기타 피해사업자 일반 납세자 8.31.이내
성실신고확인서 제출 신고자 8.31.이내
세무대리인 등 피해 일반 납세자 6.30.
성실신고확인서 제출 신고자 7.31.
* 특별재난지역(2020.3.15.):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일부지역(경산,청도,봉화)
다음의 경우에 해당되면 종합소득세를 확정신고하지 않아도 됩니다.
근로소득만 있는 자로서 연말정산을 한 경우
다만,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는 확정신고하여야 합니다.
2인 이상으로부터 받는 근로소득·공적연금소득·퇴직소득 또는 연말정산대상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주된 근무지에서 종된 근무지 소득을 합산하여 연말정산에 의하여 소득세를 납부함으로써 확정신고 납부할 세액이 없는 경우 제외)
원천징수의무가 없는 근로소득 또는 퇴직소득이 있는 경우(납세조합이 연말정산에 의하여 소득세를 납부한 자와 비거주연예인 등의 용역제공과 관련된 원천징수절차특례 규정에 따라 소득세를 납부한 경우 제외)
연말정산을 하지 아니한 경우
직전 과세기간의 수입금액이 7,500만원 미만이고, 다른 소득이 없는 보험모집인‧방문판매원 및 계약배달 판매원의 사업소득으로서 소속회사에서 연말정산을 한 경우
퇴직소득과 연말정산대상 사업소득만 있는 경우
비과세 또는 분리과세되는 소득만 있는 경우
연 300만원 이하인 기타소득이 있는 자로서 분리과세를 원하는 경우 등
개인지방소득세는 2020.1.1. 이후부터 귀속연도와 무관하게 지방자치단체의 장(시·군·구청장)에게 신고(과세표준확정신고, 수정신고, 경정청구)해야 합니다.
홈택스(국세)와 위택스(지방세)를 실시간 연계하는 원클릭 전자신고시스템을 통해 국세와 지방세를 동시에 편리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 홈택스(www.hometax.go.kr) 전자신고 : 종합소득세신고바로가기 → 로그인 → 신고서 선택 → 신고서 작성 및 제출 → 「Step2 신고내역」 또는 「전자신고결과조회」 화면에서 「지방소득세 신고」 버튼 → (위택스 자동전환)지방소득세 신고서 작성 및 제출
장부의 비치·기장
소득세는 사업자가 스스로 본인의 소득을 계산하여 신고·납부하는 세금이므로, 모든 사업자는 장부를 비치·기록하여야 합니다(소득세법 §160, 소득세법 시행령§208).
간편장부대상자(소득세법 시행령 §208)
해당 과세기간에 신규로 사업을 시작하였거나
직전 과세기간의 수입금액(결정 또는 경정으로 증가된 수입금액을 포함)의 합계액이 아래에 해당하는 사업자를 말합니다.
업 종 구 분 직전 과세기간 수입금액
1농업·임업 및 어업, 광업, 도매 및 소매업(상품중개업 제외), 부동산매매업, 그 밖에 아래 ②, ③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사업
3억원 미만
2제조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 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건설업(비주거용 건물 건설업은 제외), 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주거용 건물 개발 및 공급업에 한함), 운수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상품중개업, 욕탕업
1억 5천만원 미만
3부동산임대업, 부동산업(부동산매매업은 제외),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가구내 고용활동
7천 500만원 미만
※ 단, 전문직사업자는 2007.1.1. 이후 발생하는 소득분부터 수입금액에 상관없이 복식부기 의무가 부여됨.
복식부기의무자
간편장부대상자 이외의 모든 사업자는 재산상태와 손익거래 내용의 변동을 빠짐없이 거래시마다 차변과 대변으로 나누어 기록한 장부를 기록·보관하여야 하며, 이를 기초로 작성된 재무제표를 신고서와 함께 제출하여야 합니다.
장부를 기장하지 않는 경우의 불이익
복식부기의무자가 장부를 기장하지 않아 추계신고할 경우 무신고가산세 [수입금액의 0.07%와 무신고납부세액의 20%(부정무신고시 40%, 국제거래 수반한 부정무신고시 60%) 중 큰 금액]와 무기장가산세(산출세액의 20%)중 큰 금액을 가산세로 부담하게 됩니다.
간편장부대상자는 산출세액의 20%를 무기장가산세로 부담하게 됩니다.(다만, 직전 과세기간의 수입금액이 4,800만원 미만인 소규모 사업자 등은 제외)
결손금액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인정받지 못합니다.
소득금액 계산
장부를 비치·기록하고 있는 사업자는 총수입금액에서 필요경비를 공제하여 계산합니다.
장부를 비치·기장하지 않은 사업자의 소득금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1)기준경비율적용 대상자(①, ② 중 작은금액)
1소득금액 = 수입금액 - 주요경비* - (수입금액 × 기준경비율(1))
* 주요경비 = 매입비용 + 임차료 + 인건비
2소득금액 = {수입금액 - (수입금액 × 단순경비율)} × 배율(2)
(1) 복식부기의무자의 경우 추계과세 시 기준경비율의 1/2을 적용하여 계산
(2) 2019년 귀속 배율 : 간편장부대상자 2.6배, 복식부기의무자 3.2배
2)단순경비율적용 대상자
소득금액 = 수입금액 - (수입금액 × 단순경비율)
* 단순경비율 대상자의 소득금액 계산시 ‘일자리 안정자금’은 수입금액에서 제외(’20.2.11. 이후 결정·경정하는 분부터)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의 불이익
각종 세액공제 및 감면을 받을 수 없습니다.
무거운 가산세를 부담하게 됩니다.
종 류 부과사유 가 산 세 액
무신고 가산세 일반무신고 무신고납부세액×20%
일반무신고(복식부기의무자) MAX[①, ②]
① 무신고납부세액×20%
② 수입금액×0.07%
부정무신고 무신고납부세액×40%(국제거래 수반시 60%)
부정무신고(복식부기의무자) MAX[①, ②]
① 무신고납부세액×40%(국제거래 수반시 60%),
② 수입금액×0.14%
납부불성실 가산세 미납·미달납부 미납·미달납부세액×미납기간×0.025%
※ 미납기간: 납부기한 다음날~자진납부일(납세고지일)
※ 무신고가산세와 무기장가산세(산출세액의 20%)와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그 중 가산세액이 큰 가산세를 적용합니다.